"이(천안함) 문제가 (안보리) 이사회에 제기되는 경우 무엇보다도 미국과 남조선이 피해 당사자인 우리가 이미 제기한 국방위원회 검열단을 받아들여 '조사결과'를 확인시키도록 하는데 도움이 되는 조치를 취해야 할 것이다."
북 외무성 대변인은 4일 <조선중앙통신>기자가 제기한 질문에 대한 답변 형식으로 "미국과 그 추종세력이 《천안》호사건을 공화국과 결부시켜 유엔안전보장리사회에 끌고가려고 책동하고 있는 것과 관련하여" 이같이 촉구했다.
"이 사건 해결에서 관건은 미국과 남조선 당국의 '조사결과'를 피해 당사자인 우리(북한)가 검열확인하는 데 있다"는 주장이다.
천안함 사건이 안보리에 회부되는 상황을 예견하면서 '검열단에 의한 조사결과 확인'이라는 북한 나름의 해법을 제시한 셈이다. 다른 한편으로는 중국과 러시아에 대한 압박 카드라는 해석도 제기된다.
대변인은 "만약 미국과 그 추종세력이 사건의 진상에 대한 객관적 확인을 회피하고 저들의 일방적인 '조사결과'만 가지고 유엔안전보장리사회 상정 논의를 강행한다면 그 목적의 불순성이 더는 부인할 여지없이 명백해질 것"이라며 "그때 가서는 우리가 지난 시기처럼 초강경 대응해도 미국과 유엔안전보장리사회는 할 말이 없게 될 것이며 조선반도에서 비핵화를 가로막고 충돌의 도화선에 불을 달아놓은 책임에서 절대로 벗어나지 못할 것이다"는 경고도 잊지 않았다.
대변인은 그러나 '초강경대응'이 무엇을 의미하는지는 밝히지 않았다.
한편, 북한은 지난달 20일 국방위원회 대변인 성명을 통해 검열단 파견방침을 밝히고 '22~23일께 보내겠다'고 통보했으나, 지난달 21일 남측은 군사정전위원회에서 논의하자는 역제의를 통해 사실상 이를 거부한 바 있다.
<북한 외무성 대변인 대답(6.4)>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외무성 대변인은 미국과 그 추종세력이 《천안》호사건을 공화국과 결부시켜 유엔안전보장리사회에 끌고가려고 책동하고있는것과 관련하여 4일 조선중앙통신사 기자가 제기한 질문에 다음과 같이 대답하였다.
우리가 이미 천명한바와 같이 《천안》호침몰에 대한 미국과 남조선당국의 《조사결과》라는것은 날조이다. 그렇지 않다면 우리가 이미 제기한 국방위원회검열단을 받아들여 저들의 《조사결과》를 객관적으로 확인시키지 못할 리유가 없다.
이 사건해결에서 관건은 미국과 남조선 당국의 《조사결과》를 피해 당사자인 우리가 검열확인하는 데 있다.
미국의 조종하에 남조선당국이 조작해낸 《조사단》이라는것부터가 국제적기준에 전혀 부합되지 않는 불투명한 실체이다. 군부가 칼자루를 쥔데다가 외국인이 몇명 참가하였다고는 하나 그들이 어떤 절차와 공정을 거쳐 선정되였으며 《조사결과》에 모두가 수표를 했는지 안했는지도 전혀 공개된 것이 없다. 때문에 남조선 당국조차 이 《조사단》에 감히 국제조사단이라는 공식감투를 씌우지 못하고 세상에 없던 《민군합동조사단》이라는 기형적인 간판을 달지 않을수 없었던 것이다. 그리고 이제 와서는 피해당사자도 아닌 개별 적나라의 전문가들을 끌어들여 저들의 《조사결과》가 의심스럽다는 국제적 비난을 무마시켜보려 하고 있다.
유엔안전보장리사회는 이라크에 대한 미국의 거짓말로 자기 연단을 더럽힌 전철을 밟지 말아야 한다. 미국의 강권과 전횡의 도구로 또다시 도용 당하지 않으려면 리사회성원국들이 사건의 진상을 객관적으로 밝히는 데 선차적 주의를 돌리고 자체의 옳은 판단을 내리는 것이 중요하다. 이 문제가 리사회에 제기되는 경우 무엇보다도 미국과 남조선이 피해당사자인 우리가 이미 제기한 국방위원회 검열단을 받아들여 《조사결과》를 확인시키도록 하는데 도움이 되는 조치를 취해야 할것이다.
만약 미국과 그 추종세력이 사건의 진상에 대한 객관적 확인을 회피하고 저들의 일방적인 《조사결과》만 가지고 유엔안전보장리사회 상정론의를 강행한다면 그 목적의 불순성이 더는 부인할 여지없이 명백해질 것이다.
그때 가서는 우리가 지난 시기처럼 초강경 대응해도 미국과 유엔안전보장리사회는 할 말이 없게 될 것이며 조선반도에서 비핵화를 가로막고 충돌의 도화선에 불을 달아놓은 책임에서 절대로 벗어나지 못할 것이다.
(출처-조선신보)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