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정보게시판 > 새소식
새소식 이전자료
<日 "대만마저..." 센카쿠 가세에 당혹>

<日 "대만마저..." 센카쿠 가세에 당혹>

대만 감시선 센카쿠 진입…물대포 충돌
대만 감시선 센카쿠 진입…물대포 충돌
(도쿄 교도=연합뉴스) 대만 해양경찰의 경비선 8척과 어선 수십 척이 25일 오전 센카쿠(중국명 댜오위다오) 해역에 진입해 일본 순시선과 물대포를 쏘며 충돌하고 있다.   이날 중국의 해양감시선과 어업감시선 10척 가운데 6척도 일본이 설정한 센카쿠 접속수역에 진입했다.   센카쿠의 일본 측 영해 바깥 접속수역에는 이날 대만 어선 60여 척이 포진했으며 이 가운데 40척은 일본 측 영해에 진입했다가 오전 11시40분쯤 모두 빠져나갔다.   대만 어선이 선단을 이뤄 일본 측 영해에 진입한 것은 지난 1996년 홍콩과 대만의 항의선 41척이 이 해역에 진입한 이후 16년 만이다. 2012.9.25 jobo@yna.co.kr

(도쿄=연합뉴스) 이충원 특파원 = 대만 선박 약 50척이 센카쿠(중국명 댜오위다오) 영해에 진입했다가 빠져나가자 일본이 '50t짜리 망치'에 얻어맞기라도 한 것처럼 강한 충격에 빠졌다.

대만을 동북아시아의 유일한 '친일 국가'라고 분류해온 일본으로서는 한국과 중국, 그리고 대만까지 가세한 '일본 포위망' 형성 가능성을 걱정해야할 처지다.

일본 각 매체는 대만의 의도 분석에 골몰하고 있다.

26일자 니혼게이자이신문은 어업 문제, 대만 내 친중파의 선동, 마잉주(馬英九) 정권의 친중 성향이라는 세가지 측면에서 대만을 분석한 기사를 실었다.

이 신문은 우선 "대만 어민이 일본의 (식민지) 통치가 끝난 뒤에도 센카쿠 주변의 풍부한 어장에서 자유로이 조업했지만, (센카쿠가 일본에 귀속된) 1972년 오키나와 반환 후에는 일본이 경비를 강화한 탓에 조업하기 어려워졌다"고 센카쿠 주변의 대만과 일본간 어업 갈등을 인정했다.

대만 감시선 센카쿠 진입…물대포 충돌
대만 감시선 센카쿠 진입…물대포 충돌
(도쿄 교도=연합뉴스) 대만 해양경찰의 경비선 8척과 어선 수십 척이 25일 오전 센카쿠(중국명 댜오위다오) 해역에 진입해 일본 순시선과 물대포를 쏘며 충돌하고 있다. 이날 중국의 해양감시선과 어업감시선 10척 가운데 6척도 일본이 설정한 센카쿠 접속수역에 진입했다. 센카쿠의 일본 측 영해 바깥 접속수역에는 이날 대만 어선 60여 척이 포진했으며 이 가운데 40척은 일본 측 영해에 진입했다가 오전 11시40분쯤 모두 빠져나갔다. 대만 어선이 선단을 이뤄 일본 측 영해에 진입한 것은 지난 1996년 홍콩과 대만의 항의선 41척이 이 해역에 진입한 이후 16년 만이다. 2012.9.25 jobo@yna.co.kr
그동안 대만이 센카쿠 주변 어업권 문제를 거론할 때마다 일본 매체들이 시큰둥한 반응을 보인 것과 비교하면 논조가 크게 달라졌다.

대만과 일본은 1996년에 센카쿠 주변 어업회담을 시작했다가 2009년 2월에 중단했다. 그후 일본은 대만의 거듭된 회담 재개 요구에 응하지 않았지만 최근 대만이 센카쿠 갈등에서 중국과 연대할 움직임을 보이자 서둘러 '어업회담 재개'를 거론하며 대만 달래기에 나섰다. 일본 매체의 논조도 이같은 일본의 태도 변화를 반영하는 것으로 풀이된다.

일본 매체는 대만 내 친중 세력의 움직임에도 눈길을 돌렸다. 니혼게이자이신문은 중국이 주력 시장인 대만 식품 대기업 왕왕(旺旺) 그룹이 센카쿠로 향한 대만 어선에 연료비 등 500만 대만 달러(약 1천350만엔)을 기부했다는 점이나 23일 타이베이시에서 열린 센카쿠 국유화 항의 시위에 중국과 대만 통일을 주장하는 단체 회원이 참가했다는 점을 강조했다. '친중' 세력이 '반일' 움직임을 부추긴다는 분석이다.

이같은 움직임에 마잉주 정권의 의도가 작용했다는 지적도 빼놓지 않았다. 니혼게이자이신문은 마 총통이 미국 대학원 유학 시절 박사 논문 주제를 센카쿠 문제로 골랐다는 점까지 거론해가며 대만 국민당 정권이 센카쿠 문제에서 강경한 자세를 취하며 친중 성향을 보이고 있다고 적었다.

대만이 중국과 일본 사이에서 존재감을 과시하기 위해 어선들의 센카쿠행을 허용했다는 분석도 곁들였다.

작성일자 : 2012년 09월 26일
1458의 글 ( 5 / 73 )
번호 파일 제목 작성일자 조회수
1378 장하나 "캠프킴 기지서 기름오염 지하수 유출"12-10-234937
1377 <남북, '대북 삐라' 일촉즉발 군사 대치>12-10-224754
1376  北 "삐라살포지점인 임진각 등은 조준격파대상" 12-10-195002
1375 美 아태사령관 "亞 영토분쟁 미국은 중립"?12-10-174644
1374 미군의 못된 버릇 또 도졌다. 일본 여성 성폭행 '발칵'12-10-1711776
1373 "주한미군 군사우체국 통한 마약밀수 급증"12-10-156081
1372 전면전 공격대형으로 집결한 침략무력 12-10-114588
1371 北 "장거리미사일 발사해도 미국은 할말 없게 돼" 12-10-114654
1370 北, “미.일 명중타격권 내에 있다” 12-10-094511
1369 미국이 세계 최다 핵무기 보유국, 1천722개12-10-044215
1368 美 "한국 공격헬기 구매 의향 의회 보고"(종합)12-09-275102
1367 대만, 미국산 첨단 레이더 구매 계획 백지화12-09-264588
1366[선택] <日 "대만마저..." 센카쿠 가세에 당혹>12-09-264279
1365 대만과 일본, 댜위오다오 섬 부근에서 물대포 충돌12-09-264312
1364 “천안함 사건 해역서 기뢰폭발” 첫 증언 나왔다 12-09-264048
1363 "현정부 들어 민주주의 후퇴"12-09-184192
1362 이란 혁명수비대장 "공격받으면 호르무즈,미군기지,이스라엘 공격"12-09-186135
1361 반미 시위, 이슬람권 전역으로..美, 초비상 경계12-09-145261
1360 "美, 외교공관 위협 알고도 대비 안 해"<英紙>12-09-144330
1359 <숨진 美리비아대사, 피살 직전까지 기밀폐기>12-09-145274

[1][2][3][4][5][6][7][8][9][10][다음 10개]
 
 
 
 
E-mail : onecorea21@hotmail.com | TEL. 02) 6406-6150
Copyleft (c) 1999 주한미군철수운동본부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