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남전, 한국전에서 F-4, A-7, F-105 등의 항공기를 근접항공지원(CAS) 임무에 투입하였으나 만족할 만한 성과를 거두지 못하여 CAS임무를 위한 항공기 요건을 충족시키는 우수한 항공기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ㅇ 미 육군의 CAS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미 공군은 1966년 중반 CAS 임무 전용의 공격기 개발계획(AX : Attack Experimental)에 착수하였다. ㅇ 미 공군은 AX의 요구조건으로 전투효율성, 생존성, 단순성 및 민감성을 갖출 것을 요구하였다. 특히 이 항공기가 비행 및 정비유지에 신뢰성이 있고, 대량무장으로 장시간 체공이 가능하며 고도의 기동성을 갖춤으로써, 기존의 CAS 전담기였던 B-57, A-37 및 A-1을 대체시키고자 하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