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22일 오후 1군단 사령부 앞에서 시민사회단체들과 주민들이‘농토파괴 무건리 훈련장 확장 강제추진 1군단 사령부 규탄 집회’를 가졌다. [사진-통일뉴스 조성봉 기자] |
봄비가 내리는 22일 시민사회단체와 무건리 주민들은 국방부와 1군단 사령부의 일방적인 무건리 훈련장 550만평 추가 확장을 반대하고 나섰다.
이날 낮 12시 10분, 경기도 파주시 1군단 사령부 앞 삼거리에서는 ‘무건리 훈련장 확장반대 주민대책위원회(위원장 주병준)’ 주관으로 평통사 등 4개 시민사회단체들과 주민들이 ‘농토파괴 무건리 훈련장 확장 강제추진 1군단 사령부 규탄 집회’를 열었다.
1군단 사령부는 '내년에 주민들이 농사를 지을 수 있도록 해 주겠다'는 약속으로 일부 주민들의 농토를 협의 매수해 왔으나, 상당수 주민들은 아예 매각 자체를 거부해왔다. 이들 농토에 대해 당국은 훈련장 부지로 쓰겠다며 강제수용절차를 밟아 갈아엎고 있는 상황이다.
주병준 주민대책위원장은 “무건리 훈련장 확장은 79년부터 시작한 뒤 지금까지 30년째다”며 침통한 목소리로 입을 열었다. 그는 “사령부가 훈련장 확장을 이유로 농토를 갈아엎어 올해 농사 못 짓게 다 밀어버렸다"며 개탄했다.
1군단 사령부의 농토 협의 매수에 대해서 김종일 평통사 사무처장은 “거짓문서로 주민들을 선동하고, 기만하는 군대가 어느 나라의 군대냐”며 군 당국의 무책임한 행동을 비판했다.
무건리 주민들은 지난 96년부터 재산권행사는 물론이고 주택의 개.보수조차 국방부의 허가를 받아야 하는 등의 불편을 겪었다. 또 마을 인근에서 진행되는 군사훈련에 의한 소음으로 가축이 유산을 하는 등 정신적, 물질적 피해를 받고 있다.
|
 |
|
▲ 무건리훈련장 확장 규탄발언 중인 주병준 주민대책위원장.[사진-통일뉴스 조성봉 기자] | 이어 김 사무처장은 “무건리 주민들은 82년 350만평 훈련장 건설에 따라 고향을 잃게 되었고, 지금 국방부가 오현1,2리의 550만평을 훈련장으로 확장하려고 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는 연간 13주 간 머무르게 되는 미군의 전용훈련장이 될 것”이며, “북을 선제공격할 수 있는 실전적인 전쟁연습을 하게 되는 곳으로 바뀌게 될 것”이라며 당국과 1군단 사령부의 음모에 대해 경계심을 나타냈다.
한편 민주노동당 경기도 파주시 위원회 이재희 위원장은 "주민들의 훈련장 확장 저지 의지를 알리기 위해 지난 15일부터 사령부 앞에서 1인 시위를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다.
집회 참가자 정해숙 경기북부지역 '청년과 함께' 노년회 회장은 "군 당국이 군부대 근접지역에서 시위를 하지 못하게 의도적으로 밀어내려고 하는 부분이 있다"며 안타까움을 토로했다.
참가자들은 결의문에서 "토지보상사업을 사칭한 지역갈등, 주민 분열 중단"과 함께 주민대표와의 성실하고 공식적인 대화를 요구하며, 1군단 사령부 민원실에 면담요청서를 전달했다.
이날 행사는 무건리훈련장확장반대주민대책위, 희망찬 파주연대, 경기북부진보연대, 평화와통일을 여는 사람들, 범민련 남측본부 등의 주최로 50여명의 시민단체회원 및 주민들이 참가하였다.
|
 |
|
▲ 무건리훈련장 확장 반대를 위해 참가한 시민단체회원들.[사진-통일뉴스 조성봉 기자] | |